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디어센터

프로폴리스로 희망을 이야기합니다.

[대전일보 2016.02.15 오피니언 칼럼 기고] 대덕특구의 위기 - 이승완 대표

probee 2016-08-31 조회수 3,907

  대덕특구의 위기

 

최근 미래부가 성남시 판교와 서울 상암을 아시아 최고 창업, 문화 콘텐츠 허브를 각각 조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대한 지역 정치권, 과학계, 벤처업계 등 최대 연구개발특구 임에도 불구 수도권 중심 과학 정책으로 대덕의 위기론, 역차별, 홀대론 등 비난 목소리가 거세다. 지난 24일 과학도시포럼에서 '대덕특구의 위기와 기회' 주제로 현안 포럼도 개최됐다. 이러한 정책 변화가 대덕에 새로운 변화의 돌풍이 될지 아니면 찻잔 속에 태풍으로 머물 지 주목되고 있다.

대덕연구단지는 지난 40여 년간 관주도의 과학도시로 성장을 해온 반면에 우수한 산업인력들을 제대로 양성되지 않아 전문인력 확보와 기업의 국제경쟁력이 취약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5개 연구개발특구지역에 과학기술투자액이 387억원인 대전은 대구(2111억원), 전북(1129억원), 부산(1024억원), 광주(543억원)보다도 비중이 낮다.

 

대전의 예산과 역량으로 벤처기업 특별시로 육성하겠다는 의욕은 '속 빈 강정'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게 된다. 남 탓하지 않고 타 지역에서 하고 있는 일반적 전략보다는 선택과 집중으로 기존 과학기술의 인프라를 활용해서 경제 활성화를 이룰 수 있는 대전만의 전략을 찾아야 한다. 외국 유학생들의 창업과 해외 유망 스타트 업이 국내 정착이 가능할 수 있는 규제 프리존(Regration Free Zone) 특별법이 올 6월에 제정된다고 하니 대전시가 발 빠르게 추진을 제안한다. EXPO 과학 공원에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들어서면 기초과학연구원 상근 인력이 3000, 해외과학자 300여 명 유치, 해외 중이온 가속기 이용 방문연구원 1000명 등이 예상된다. 현재 제도로 우수한 외국 인재를 붙잡거나 끌어당길 메리트가 없지만 앞으로 대덕특구는 인적, 기술교류 할 수 있는 세계적인 혁신 클러스터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칠레는 '스타트업 칠레'라는 프로그램으로 외국인 창업자들에게 1년간 체류 할 수 있는 비자를 발급해 줄 뿐 아니라 창업기업당 4만불(4800만원)씩 지원해주고 간섭도 하지 않는다. 2010년 이후 2년간 37개국에서 약 500개 창업기업들이 산업중심지인 산티아고로 몰려들었다. 세계사의 획기적인 발전과 확장을 이룬 로마, 몽골, 미국 등의 공통점이 있다면 바로 과감한 외국인 수용 정책이라는 점이다. 좀 더 현실적으로 아시아의 스타트업 허브를 먼저 대덕이 스타트하여 정책 지원을 받는 판교보다 먼저 기회를 잡아야 한다. 이승완

 

서울프로폴리스() 대표